정보통신기사 실기 준비(1) - 프로토콜, OSI, TCP/IP, LAN, SNMP, 보안
1. OSI 7 Layer 에 대해 각각 쓰시오.
7 - Applycation Layer 응용 계층
6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5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4 - Transport Later 전송 계층 / TCP(헤더_20byte) UDP(헤더_8byte)
3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IP
2 -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 HDLC
1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RS-232C
※ 중계시스템과 관련 있는 계층 = Physical, DataLink, Network (1, 2, 3) 계층
※ 전자우편 및 파일전송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 제공 => 7 Application Layer
※ 데이터 압축, 전송구문, 암호화 수행 => 6 Presentation Layer
압축 목적은 송신단 신호의 전송 데이터 량을 줄여서 보내도, 수신단 신호 복원 시 품질저하가 없도록 함
손실압축방식 (MPEG, JPEG) / 무손실압축방식(RLC_Run-length coding)
※ 로그인 및 로그아웃 절차 => 5 Session Layer
2. TCP/IP 4계층에 대해 쓰시오.
4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3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2 - Network Layer 인터넷 계층
1 - NetworkAccess Layer 네트워크엑세스 계층
3. 프로토콜이란? 그리고 기능 5가지를 설명하시오.
데이터 통신에 있어 신뢰성 및 효율적이고, 안정하게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하여 정보의 송수신측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을 말한다. 이에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3대 요소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이다.
기능으로는 1. 분리와 재결합(데이터 작은 패킷으로 나누는 과정과 적합 메시지로 재합성 가능), 2. 캡슐화(계층별 이동 시 헤더를 부착하여 상위계층의 정보를 Data로 처리), 3. 연결제어(송수신간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 4. 흐름 제어(송수신간에 데이터 양과 전송속도를 조절 가능), 5. 오류 제어(전송 중 발생 가능한 오류를 검출 복원 기능), 6. 동기화(송수신간 전송 시작 과 종료 수행 시 같은 상태 유지 기능), 7. 순서결정(송신 데이터가 수신시 보내진 데이터 순서대로 수신 기능), 8. 주소지정(송수신 주소를 표기 데이터전달 기능)
4. 호스트 IP(32bit)를 MAC(48bit)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과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의 명칭을 쓰시오.
IP->MAC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MAC->IP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5. 근거리통신망 구축하고자 할 때 검토할 기술사항 4가지를 쓰시오.
토폴로지, 전송매체, 전송속도, 전송시스템
6. TCP프로토콜 기능 및 IP의 특징 3가지를 쓰시오.
TCP 프로토콜: 신뢰성 보장, 연결지향, 흐름제어
IP: 비신뢰성, 비연결성, Packet 분할 병합
7. IPv4 프로토콜의 특징과 IPv6의 프로토콜 특징 3개 씩 적으시오.
IPv4: 32bit주소길이를 갖고 8비트 씩 10진수로 표시 / QoS가 곤란하며 보안성 미흡하여 IPSec 별도 설치 / 라우팅 규모조정 불가
IPv6: 128bit주소길이를 갖고 16bit씩 16진수로 표시 / QOS 용이하며 보안성 증가로 IPSec 기본제공 / 라우팅 규모 조정 가능
8. IPv6 주소 자동설정 구현방법2개와 IPv4와 연동방법 3가지를 적으시오.
IPv6주소 자동설정 구현방법: 상태보존형 주소 자동설정, 상태비보존형 주소 자동설정
연동방법: 듀얼 IP 스택(호스팅 라우터 관점 ipv4, ipv6 주소 모두 구현) / 터널링(Network관점 ipv6데이터그램을 ipv4 패킷에 캡슐화하여 ipv4 라우팅 토폴로지 영역을 터널링) / 주소 변환(게이트웨이 관점 송신자 ipv6, 수신자 ipv4사용 시 주소변환방식)
9. 인터네트워킹에 사용되는 장비 4가지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허브(1계층 장비), 스위치(2계층 장비), 라우터(3계층 장비), 게이트 웨이(7계층 장비)
10.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라우터(Router)의 기본 기능 3가지를 쓰시오.
최적경로 설정, 라우팅 테이블 관리, 서로다른 네트워크 연결, 패킷 전달
11. RIP는 (거리벡터)를 이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벡티는 (홉) 수를 모아놓은 정보를 근거로 (동적 라우팅)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이다.
12. Token Passing 방식을 CSMA/CD 와 비교하여 장단점을 쓰시오.
Tokin Passing 장점
- 비경쟁 MAC 방식으로 채널 사용권을 균등 부여 / 충돌이 없음 / 우선순위 부여 데이터 예측 가능
Tokin Passing 단점
- 전송 데이터가 없을 시 전송 채널 낭비 / 해당 노드가 토큰 패스 받을때까지 수신, 송신 대기시간
13. FDDI는 어느 계층에서 동작하고 2차 링의 목적은 무엇인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 1차링 장애 시 보호 기능으로 장애조치를 위한 2차링
14. 무선 LAN IEEE 802.11에서 사용되는 DSSS와 FHSS를 Full Name으로 쓰시오.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_직접확산 스펙트럼)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_주파수도약 스펙트럼)
15. VPN의 기능 4가지만 기술하시오.
암호화, 터널링, 인증, 사설망
16. NMS(망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 다섯가지를 적은 후 각각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구성관리(Configuration) 관리: 네트워크 구성요소 추가, 삭제 등 상태관리
장애(Fault) 관리: 네트워크 장애 검출 및 조치, 이력관리
성능(Performance) 관리: 네트워크 구성요소 성능 관리
보안(Security) 관리: 네트워크 사용자 접근권한 관리
계정(Account)관리: 네트워크 사용자 자원 사용 현황 및 권한 관리
'[기술] 네트워크_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기사 실기 준비(2) - 변조, Baud, Bps, PCM, 해밍코드 (0) | 2024.08.21 |
---|---|
[전송망 입문] - WDM망의 이해 (2) (1) | 2023.12.15 |
[전송망 입문] - WDM망의 이해 (1) (0) | 2023.12.15 |
[전송망 입문] - TDM망의 이해 (3) (1) | 2023.10.31 |
[전송망 입문] - TDM망의 이해 (2) (1)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