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망입문 3

[전송망 입문] - TDM망의 이해 (3)

5. 보호절체기술 5.1 망구성 및 절체 방식 망 토폴로지는 PTP와 RING으로 구분하고, PTP는 TM이라고도 하는데 통상 1+1 MSP로 구성되어 있고 RING은 SONET 방식의 용어로는 UPSR(Unidrectionl Path Switched Ring_비복귀성)=SNCP-Ring 또는 BLSR(Bidrectionl Line Switched Ring_복귀성)=MS SPRing로 만들어진 RING이 있음 ※ MSP(Multiplex Section Protection): 멀티플랙서 섹션 보호 장치 / 단방향 및 양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 및 비역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음 (출처_노키아 문서 라이브러리 _ https://documentation.nokia.com/html/365-312-801R7.2/16..

[전송망 입문] - TDM망의 이해 (2)

3. 시분할 다중화(TDM) 3.1 동기 클럭 관점에 따른 구분 1) 비동기식 다중화 (Plesichronous Multiplexing) - 개별 자체 클럭원에 의해 하위 계위신호들을 상위 계위신호로 다중화 - 비트 스터핑(bit stuffing)에 의한 비트 간의 동기를 일치시키며 다중화 처리함 - 디지털 다중이전 단계에서 각 입력신호들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입력신호보다 약간 높은 공통의 클럭(동기 클럭)으로 동기시킨 후 비트 인터리빙하여 다중화하는 기술 - 입력 신호의 속도와 공통 클럭의 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처리 - 비동기식 주요 장비는 MUX: 소용량 다중화 장치로 가입자 영역에 위치하여 가입자의 DS0 급 및 DS1/E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장치로서, CO(Cent..

[전송망 입문] - TDM망의 이해 (1)

1. 전송과 다중화 개요 1.1 전송망이란? 음성/Data 등을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달매체 - 전달하고 싶은 모든 정보는 장거리 전송을 위해 전송망에 수용 => 저속 또는 고속의 신호를 Multiplexing하여 대용량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로 전달하고 이를 다시 Demultiplexing 하는 역할 수행 - 장거리/저손실 전송을 위해 빛을 이용하는 광통신이 전송망의 주요 방식 => 전송망의 구성 요소로는 MUX장비류, 광장비류, DWDM장비류 및 다양한 전기 또는 광신호 전달 케이블 1.2 PCM (Pulse Code Modulation) 기술 음성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 하는 기술 /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전달하면 전력소모가 많고 대역폭 낭비가 심함 아날로그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