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LG U+ 해법

[LG U+ 장애 해법] SME/SOHO 인터넷 장애 (공유기 2대)

두지두지 2023. 12. 14. 19:58

안녕하세요. 두지두지의 세상파기입니다.

이번에는 공유기 2대 연결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Stephen Phillips - Hostreviews.co.uk

사무실, 음식점 내의 구내 네트워크 구성에는 굉장히 많은 방법이 존재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공유기 1대로 내부, 위부 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서로 충돌이 없게끔 하는게 가장 좋지만, 내부의 와이파이 커버리지 문제 등으로 인해 공유기를 2대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있어 구성별로 파악해보겠습니다.

 

그 전에 간단한 정보를 드리자면 iptime 공유기는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서 ip주소, 게이트웨이 등을 입맛에 맞게 바꿀 수 있지만 LG U+ 공유기는 이에 대해 제한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초기에 설정을 위한 게이트웨이 주소는 다음과 같으며 공유기 하단에 랜포트를 꽂아 접속하거나 고정 ip를 심어 접속하시면 됩니다.

- iptime 공유기 : 192.168.0.1 또는 192.168.0.254 (게이트웨이 주소)_사용자가 변경 가능(초기 설정은 이러하며 ID/PW는 admin/admin 입니다)

- LG U+ 공유기 : 192.168.219.1 (못바꿈_공유기 뒷편에 관리자 웹 접속비밀번호 있습니다)

- 서브넷 255.255.255.0

※ LG U+ 공유기는 허브모드, 브릿지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나오는 제품이 아니기에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사용하시다가 설정이 풀리는 경우가 발생) 공유폴더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설 공유기 2대로 구성을 하시고, LG U+ 공유기가 2대라면 광모뎀에 2개를 각각 연결하여 하나는 네트워크, 하나는 와이파이 용으로 사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 광모뎀->사설공유기(iptime)->LG U+ 공유기

 다른 통신사를 사용하다가 바꾸는 경우 하단 장비의 설정을 따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CCTV, 고정 ip PC, 고정 ip 전화기 등을 사용한다면 좋은 방법이지만 사설 공유기가 고장나는 경우 개인이 장비를 교체해야 하기에 어느정도 리스크도 있습니다. 사설 공유기의 셋팅이 CCTV를 제외한다면 192.168.0.1 iptime 공유기 장비로 교체하면 됩니다.(허브랑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다만, LG U+ 공유기에는 허브모드를 걸고 사용하게 되면 핑끊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경우에 따라 잘 되는 곳도 있음). 하지만 일반적인 구성은 아니기에 비추천하며 연결시에는 모뎀LAN포트->사설공유기 LAN포트 -> LG U+ 공유기 WAN 포트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2. 광모뎀->사설공유기(iptime)->사설공유기(iptime)

 사설 공유기끼리도 동일하게 광모뎀LAN포트->사설공유기 WAN포트 / 사설공유기 LAN포트 -> 사설공유기 WAN포트로 연결하는 구성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분리되어 서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공유폴더 사용 등을 원하신다면 LAN->LAN->LAN으로 구성하고, 가장 밑단 AP에는 고정 ip와 허브모드(DHCP 설정 해제)를 걸어주면 됩니다.

 

하지만 사용하시다가 장비의 오작동 등으로 가장 하단 공유기의 허브모드 설정이 풀리게 되면 네트워크 분리가 일어나고, LAN-LAN-LAN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업링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참고로 허브모드(DHCP 설정 해제)를 하기 전에는 항상 상위 공유기에 내부 네트워크 값과 다른 값(ex.192.168.0.252)을 넣어주어야 합니다. 

 

3. 광모뎀->LG U+공유기->LG U+공유기

 LG U+ 공유기 2대를 연달아 연결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허브모드가 걸리기 때문에 별도의 허브모드를 걸지 않아도 됩니다. 광 모뎀LAN포트->LG U+공유기 WAN포트 / LG U+공유기 LAN포트 -> LG U+공유기 WAN로 연결하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공유기 구성에 대한 부분이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유기의 게이트웨이 ip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2.168.0.254

- 192.168.1.1

- 192.168.10.1

공유기의 초기화 진행 전, 설정 전에는 기존 공유기 관련 ip를 적어두고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공유기 ID/PW도 적어두면 장애 처리 시에 도움이 됩니다.

 

[번외] 이외에도 공유기 설정에서 네트워크가 분리되어 있는 공유기(ip대역 분리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단 공유기에서 상단 공유기로 접속)에 접속하고 싶을 때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단 공유기의 ip 정보를 알면 좋습니다)

공유기 접속을 위한 PC 또는 노트북 고정 ip 심기

192.168.1.1 / 192.168.10.1 등의 공유기가 연달아 연결되어 있고 접속하고자 하는 공유기의 게이트웨이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접속하려면 PC 또는 노트북의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상태->어댑터 옵션 변경->이더넷 (좌측클릭->속성)->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 클릭)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 고정 ip 설정 예시로 PC ip 192.168.1.22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게이트웨이 192.168.1.1 / 기존 설정 DNS 서버 203.248.252.2 / 보조 DNS 서버 164.124.101.2로 하시면 됩니다.

이후 크롬 URL 창에 192.168.1.1을 치시면 192.168.1.1의 게이트웨이로 설정되어 있는 공유기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공유기 설정 관련해서 변경하신 이후에, 정상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시길 원한다면 다시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를 체크해주시고 확인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LG U+ 장애 해법] SME/SOHO 인터넷 장애 (공유기 2대)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공유기를 2대 사용하게 되면 네트워크 충돌로 인한 문제, 장기간 사용시 셋팅값 풀림 등으로 장애가 발생합니다. 공유기 1대로 구성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가장 간단하게 시도해보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으며 잘 모르겠다 하시면 장애센터로 문의 주시면 기업 매니저분이 방문하여 점검해드릴 것입니다. 다만 LG U+ 공유기 이외에도 직접 구입해서 사용하시는 사설 공유기, 사설 허브 등의 문제일 수도 있으니 간단한 네트워크 지식을 알고 계신다면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좋은 하루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기업 SME / 소상공인 SOHO 상품을 사용하시는 분의 불편사항에 있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LG유플러스 기업 의도와는 무관합니다. 시도했는데 안된 경우 1544-8585로 장애 접수를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